본문 바로가기

종교

한국에는 왜 교회가 이렇게 많을까?

https://youtu.be/5 WCGUbkRMEI

이 영상은 한국의 기독교가 급격히 성장한 배경을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합니다.


특히, 일본 강점기와 미군정 하에서의 적산 분배 과정이 기독교의 확장에 미친 영향을 다룹니다.

해방 후 기독교가 어떻게 사회적 영향력을 키우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며, 그 과정에서 민족 종교들이 겪은 탄압과 그로 인한 자산 상실을 강조합니다.

오늘날 한국의 교회 수가 편의점보다 많다는 사실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 한국의 야경과 교회의 수


도심의 야경을 떠올리면 빨간색 십자가가 연상되며, 이는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의 존재감을 상징한다.

외국인들이 한국의 야경을 보고 십자가가 많아 공동묘지 같다고 묘사한 일화가 있을 정도로, 교회의 수가 많다.

현재 한국에는 총 5천 개 이상의 편의점이 있다. 그러나 전국에 있는 교회 수는 약 6만 개로, 편의점보다 훨씬 많다.

해방 후 기독교인은 0.5%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교회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일본 강점기 이후 기독교의 급격한 성장 배경



일본 강점기 이후 미군정 하의 적산 분배 과정이 기독교의 급격한 성장을 이끌었다고 추정된다.

1970년대 말까지 서울 영락교회는 세계에서 신도 숫자가 가장 많은 교회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여의도순복음교회와 사랑의 교회 등 대형 교회들이 등장했다.

많은 기독교 시설이 일본 종교 단체들이 남긴 재산을 기반으로 세워졌으며, 이들 자산은 미군 관할 하에 적산으로 분류되었다.

장로교 총회의 조선 신학교와 장로회신학교는 적산을 불하받아 세워졌고, 이후 각각 한신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로 발전하였다.

개신교는 일본 신사, 불교 사찰 등 다양한 적산 종교 시설을 인수하여 교단의 기반을 확장하였다.


민족 종교의 탄압과 기독교의 부상


민족 종교인 천도교와 대종교는 기독교보다 훨씬 더 큰 교세를 가지고 있었으나, 일제에 의해 심각한 탄압을 받았다.

천도교는 300만 명의 교인을 확보하고 있었으나, 일제치하에서 공인 종교로 인정받지 못하고 유사 종교로 분류되었다.

천도교는 중요한 민족 해방 운동의 발상지로, 3.1일 만세 시위와 같은 역사적 사건에 기여하였다.

일제는 대종교를 독립운동 단체로 규정하며, 이들 민족 종교는 국가 권력에 의해 군소 종교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탄압으로 인해 해방 후 미군정의 적산 분배 과정에서 민족 종교는 물려받을 재산이 없는 상황이 되었다.

적산 분배와 한국 개신교의 급성장


한국 개신교는 적산 분배 과정에서 절대적인 혜택을 받았으며, 이는 교회의 급성장에 기여하였다.

미군정은 일본 종교단체의 재산을 조선 종교단체로 이양하기로 했으나, 적산 분배의 책임자들이 대부분 개신교인이었다.

예를 들어, 한국인 최초의 신학 박사인 남궁 목사는 적산 관리 처장으로 임명되어 교회 신자였던 미군정 상리에서 근무하였다.

당시에는 기독교를 믿는다면 집 한 채는 문제없이 얻을 수 있다는 풍조가 있었고, 이로 인해 일본 신교 재산과 불교 사찰이 개신교로 넘어갔다.

결국, 개신교는 일본군들이 넘겨준 적산 재산 덕분에 급성장할 수 있었으며, 원칙대로라면 불교에 귀속되어야 할 재산들이 개신교로 넘어갔다.

가톨릭의 특별한 혜택과 영향력


가톨릭은 미군정 하에서 특별한 혜택을 받아 신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1946년 8월, 조선공산당의 기관지를 인수하여 경향 신문사와 대건 인쇄소를 설립한 사건이 가톨릭의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경향신문은 오랜 기간 동안 가톨릭 기관지로 운영되며, 한국 사회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신자 수의 급증을 이끌었다.

기독교의 성장과 현대 사회에서의 영향력


1945년 민족 해방 이후, 개신교와 가톨릭은 대종교, 천도교, 유교 등을 제치고 3대 종교로 자리 잡으며,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기독교의 성장은 미군정의 적산 재산 불하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고, 일제의 민족 종교 탄압이 그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적산 불하는 종교 경관 형성과 각 종교 간의 경쟁력 구도에 장기간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는 좋은 조건의 적산을 많이 차지하여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였고, 이는 기독교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하였다.

오늘날 한국의 교회 수가 편의점보다 많다는 사실은 한국 현대사의 이러한 과거와 깊은 연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