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상하게 '그들'의 행동이 다르다! 모두 정치혼란에 관심 팔렸을 때 쏟아 내는 진실!!

myview-76 2025. 1. 13. 18:16

https://youtu.be/oxcQ-VAsXr8


2025년 경제 전망, 얼마나 심각할까?

오늘은 연초부터 무겁게 다가오는 경제 전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최근 정치권 뉴스가 이슈를 독점하고 있지만, 경제 문제는 정치적 이슈로 덮을 수 없는 현실적인 위기입니다.
연초가 되면 각종 금융기관, 연구기관, 정부에서 경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곤 합니다.
전통적으로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아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었죠.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릅니다.

 

어두운 경제 전망의 현실

기획재정부는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낮추며, 지난해 2.2%에서 0.4%p 하향 조정했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KDI 또한 경기 개선이 지연되고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어두운 진단을 내놨습니다.
과거에는 연말이 되면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기대라도 있었지만, 올해는 다릅니다.
보고서들은 건설업의 큰 감소, 제조업의 둔화, 금융권 부실 위험 등 문제를 하나하나 제기하며 현실을 직시하게 합니다.

 

경제 위기의 세 가지 핵심 요인

  1. 자영업 문제
    •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125조 원에 달하며, 그중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65.5%입니다.
    • 특히 50대 이상 자영업자의 약 47%가 다중 채무자로, 이들의 대출은 430조 원에 이릅니다.
    • 경기 하락으로 소득이 급감하고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추가로, 자영업자들은 코로나19 이후 소비 활동이 줄어들며 매출이 급감해, 생존을 위해 더 많은 대출을 받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2. 부동산 PF 문제
    • 부동산 가격 하락과 매수세 위축으로 건설업계와 금융권 모두 큰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사례는 업계 전반의 유동성 부족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 이와 함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화가 진행 중이며, 이는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 특히, 주택 공급 과잉과 높은 금리로 인해 부동산 PF의 부실률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3. 2금융권의 불안정성
    • 부동산 PF와 자영업 대출의 부실 문제는 2금융권으로 확산될 위험이 큽니다.
    • 예금 인출 사태(뱅크런)를 막기 위해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계는 긴급 대응 체계를 가동 중입니다.
    • 2금융권의 자본 비율이 낮아지면서, 소비자 신뢰도가 하락하고, 금융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예금자 보호 한도 인상, 그 이면의 메시지

최근 예금자 보호 한도를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 조정한 것도 단순히 예금자를 위한 조치로 보긴 어렵습니다. 이는 금융권의 건전성 악화와 유동성 위기를 선제적으로 막으려는 움직임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시장의 불안감을 잠재우고, 금융 기관의 신뢰를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위기의 시작을 직시해야

올해의 경기 전망 보고서는 예년과 달리 부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우려가 아니라, 이미 경제 위기가 시작되었음을 암묵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현실을 직시하고, 위기에 대비하는 자세입니다.경제 상황이 낙관적인 전망보다 훨씬 더 심각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할 때입니다.

 

또한, 개인과 기업 모두 재정적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출을 줄이고, 비상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금융기관은 더욱더 투명한 정책과 지원 방안을 제시해야 하며, 사회 전체가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오늘 이야기가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모두들 힘내시고, 다가올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 나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