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저물어가는 한국 영화산업 '한국 영화산업의 몰락'

myview-76 2024. 9. 13. 18:36

https://youtu.be/qYNxghUMSdc

한국 영화 산업은 최근 몇 년간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 영화 산업은 최근 몇 년간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티켓 가격 인상과 관객 감소

2022년 4월, CGV는 영화 티켓 가격을 인상하여 주말 기준 2D 영화의 가격을 만 5천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이 가격 인상은 팬데믹 이후 영화관의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조치로 설명되었지만, 당시 사람들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었습니다.


티켓 가격 인상으로 인해 관객수가 감소했습니다.

2023년 9월 영화관 전체 매출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9월 평균 매출액의 52.9% 수준으로,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면 2008년 이후 최고 매출액을 기록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더 큰 감소로 볼 수 있습니다.

 OTT의 보급과 콘텐츠 다양성

  OTT(OverTheTop) 서비스의 보급이 한국 영화 산업의 몰락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쿠팡 플레이 등 다양한 OTT 플랫폼이 등장하며, 2024년 5월 기준으로 넷플릭스의 월 활성 이용자 수가 1128만 명에 달했습니다. 이는 한국 인구의 5분의 1에 해당합니다.


OTT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해외 명작과 재미있는 작품들을 접할 수 있게 되면서, 관객들의 눈높이가 높아졌습니다.

이는 한국 영화 산업이 이전과 달리 작품성과 재미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현재 나오는 한국 영화들이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어, 관객들이 영화관을 찾지 않는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영화 산업의 구조적 문제

 한국 영화 산업은 다른 나라에 비해 영화관 매출에 크게 의존합니다. 영화관이 돈을 벌지 못하면 영화 산업 전체가 경제적인 타격을 입게 됩니다.


투자자들은 적어도 평타는 칠 수 있는 즉, 남녀노소 호불호가 거의 갈리지 않을 만한 안전한 오락영화를 선호하기 때문에 독창적인 신인 감독의 작품은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기 어렵습니다.

이는 영화 산업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저해하고, 한국 영화 자체에 대한 호감도를 저해합니다.


스크린 독과점 문제

 특정 영화가 거의 모든 시간대를 독점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는 다른 영화의 상영 기회를 제한하고, 관객의 선택권을 제한하며, 영화 다양성을 저해하는 큰 문제점입니다.


해외에서는 스크린 독과점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매우 강력한 법적 규제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은 극장과 배급사 간의 합의를 통해 결정하고, 미국은 극장과 배급사 간 수익배분 변동 시스템을 통해 결정합니다.

극장의 현실적인 대안 찾기

극장들은 현실적인 대안을 찾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GV는 2024년 8월에 매달 마지막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날로 지정하여, 일반 2D 영화를 반값인 7천 원으로 제공하는 파격적인 할인 행사를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이 행사도 효과는 미미했습니다.


영화관람료의 인상과 부가 시장 붕괴

 코로나19 이전부터 지속되어 온 영화관람료 인상이 누적되면서 관람료가 부담되어 영화관 관람이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OTT 보급이 확대되면서 영화 관람료와 비슷한 월정액으로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는데 익숙해져 영화관 요금에 대한 부담을 더 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제작비 상승과 부가 시장 붕괴, 극장 매출 의존도 강화에 따른 수익률 악화는 영화 산업 전체를 얼어붙게 하는 상황으로 이어졌습니다. 투자자들은 제작사와의 불리한 수익 분배 구조로 인해 투자금을 회수하려고 하며, 이는 제작사들이 신용불량 상태로 빠지게 됩니다.

 

콘텐츠 소비 경제성 추구

콘텐츠 소비 경제성 추구 현상은 해외에서도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마블 시리즈와 같이 검증된 콘텐츠에 파생된 작품들을 계속 제작하거나, 흥행이 높았던 영화의 후속작 중심으로 영화 제작을 이어가는 것이 이러한 현상에 부합해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영화 산업의 역사적 배경

1960년대 정부가 주도하는 산업화 시도에서 실패를 경험했던 한국 영화산업은 1990년대 대기업의 진출로 산업화의 초석을 다졌습니다. 2000년대에 투자조합을 통한 대규모 자본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결론

한국 영화 산업의 몰락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티켓 가격 인상으로 인한 관객 감소, OTT의 보급으로 인한 콘텐츠 다양성의 부족, 영화 산업의 구조적 문제, 스크린 독과점 문제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또한, 영화관람료의 인상과 부가 시장 붕괴, 콘텐츠 소비 경제성 추구 현상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영화 산업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객들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는 작품을 제작해야 합니다.

또한, 스크린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제와 합의가 필요하며, 극장들은 현실적인 대안을 찾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 영화 산업이 다시 활기를 띨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