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xb12jPlgvlM?si=0hJUIAn4NuTDqBts
채식주의의 기원과 역사
- 채식주의는 고대 인도에서 유래한 불교와 자이나교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이 종교들은 불살생 즉 생명체를 죽이지 않는 것을 기본적인 교리로 삼았다.
- 고대 그리스에서는 피타고라스가 대표적인 채식주의자로, 그의 이름을 따서 '피타고라스 식단'이란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피타고라스는 동물과 인간의 영혼이 이동할 수 있다고 믿었고, 채식이 필수적인 실천 규범이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의 채식주의
- 로마 제국이 기독교화된 이후, 채식주의 문화는 이교도의 문화로 여겨져서 사라졌다.
중세 유럽에서는 일부 수도사들이 육식을 자제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는 일반적인 규범이 아니었다.
- 르네상스 시기에 채식주의가 다시 부활하기 시작했으며,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대표적인 채식주의자로 꼽힌다.
다빈치는 신(Neo) 피타고라스주의와 채식인 친구들의 영향을 받아 채식을 실천했다.
19세기와 현대의 채식주의 운동
- 19세기 들어서 채식주의는 유럽의 많은 지역으로 퍼지게 되었고, 기독교 채식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
윌리엄 카우 허드의 활동을 통해 1847년 영국의 채식주의자 협회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현대 채식주의 운동의 시초로 여겨진다.
- 현대에 와서는 종교적인 이유보다는 동물권, 개인의 건강, 그리고 환경보호의 이유로 채식을 고집하는 사람들이 많다.
유명인사들 중에서도 스티브 잡스처럼 건강의 이유로 채식을 고집하는 경우가 있다.
채식주의의 철학적 배경
동물권과 윤리
- 많은 채식주의자들은 동물권 보호를 주요한 이유로 들며, 동물들이 인간과 같은 윤리적인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으로 피타고라스와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동물의 생명을 존중하는 관점에서 채식을 실천했다.
건강과 영양소
- 채식주의자들은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주장하지만, 과도한 채식은 필요한 영양소의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철분, 칼슘, 엽산, 비타민 B12 등의 영양소는 동물성 식품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임산부와 어린아이들에게는 육식을 권장하는 경우도 있다.
환경적 영향
- 채식주의자들은 육식이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보다 전기 생산, 운송, 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더 많다.
농경 또한 친환경적이지 않으며, 아마존의 밀림이 농경을 위해 불태워지는 경우도 있다.
채식주의의 다양한 형태
베지테리언과 비건
- 베지테리언은 해산물을 섭취하는 세미 베지테리언, 해산물도 섭취하지 않는 베지테리언, 우유와 유제품을 허용하는 락토 오보, 달걀만 허용하는 오보, 우유와 유제품을 모두 허용하는 락토 오보 등으로 나뉜다.
비건은 모든 동물성 제품을 거부한다.
프루테리언
- 프루테리언은 오로지 과일과 견과류만 섭취하는 채식주의자들이다.
결론
개인의 선택과 자유
- 채식을 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자 자유의 영역이다.
그러나 극단적인 채식주의가 아닌, 균형 잡힌 채식 식단이 중요하며, 특히 어린아이들과 임산부들에게는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적당한 논리와 실천
- 환경과 동물권을 보호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과도한 논리 확장과 극단적인 실천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방법을 찾아가며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세상이 왜 이렇게 엉망일까? (6) | 2024.10.31 |
---|---|
완전히 바뀐 이혼 트렌드 (12) | 2024.10.27 |
키에 미쳐있는나라 (8) | 2024.10.21 |
대림은 어쩌다 조선족이 지배하게 되었나 (12) | 2024.10.17 |
'제시 팬 폭행' 피해자 일행이던 프로듀서, 한인 갱단 의혹 JTBC 사건반장 (2)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