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Eeji3UNw-4k?si=_Xf0kFvbtQUbeSbm
여론조사 오차와 예측 실패
2024년 미국 대선에서도 여론조사 기관들이 이전 대선들과 마찬가지로 트럼프의 지지율을 과소평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6년과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의 지지율을 낮게 평가한 것과 동일하게, 이번 대선에서도 여론조사 결과와 실제 투표 결과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는 '샤이 트럼프' 또는 '히든 트럼프'라고 불리는, 여론조사에서 포집되지 않은 트럼프 지지자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히든 해리스와 샤이 트럼프 용어의 오용
한국 언론과 전문가들은 '히든 해리스'와 '샤이 트럼프'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했지만, 이 용어들은 미국 언론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히든 해리스'는 한국 언론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지만, 미국 언론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한국 전문가들이 미국 정치를 분석할 때 자신의 소망을 담은 용어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입니다.
'샤이 트럼프'는 민주당을 지지하는 미국 주류 언론들이 2016년과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의 지지율을 과소평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그러나 이는 트럼프 지지자들을 폄하하기 위한 용어로, 실제로는 '히든 트럼프'가 더 적절한 용어입니다.
이는 여론조사 기관들의 무능으로 인해 포집되지 않은 트럼프 지지자들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여론조사 결과의 선택적 보도
한국 언론들은 여론조사 결과를 선택적으로 보도하여 국민들을 혼란에 빠트렸습니다.
예를 들어, 해리스가 이길 것처럼 보이는 여론조사 결과만 대서특필하면서, 트럼프가 앞서가는 결과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미국의 주류 언론사들이 주로 해리스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는 하우스 이펙트(house effect)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독립 여론조사 기관들의 결과와는 다르게, 메이저 언론사들의 결과만을 강조한 것이 문제입니다.
경제 이슈와 트럼프의 승리
트럼프의 승리는 주로 경제 이슈와 관련이 있습니다.
트럼프는 대규모 감세, 일자리 보호, 높은 관세 등의 경제 정책을 강조했으며, 이는 유권자들에게 큰 설득력을 가졌습니다.
특히, 경제 문제가 이번 대선의 최대 이슈로 떠올랐고,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었습니다.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와 대비 실패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는 한국의 준비와 대비를 방해했습니다.
한국 언론들이 미국의 메이저 언론사만을 인용하여 해리스가 이길 것처럼 보도한 결과, 한국은 트럼프의 당선에 대한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외환보유고의 사용과 증시의 요동침을 가져왔으며, 일본과 같은 다른 국가들이 트럼프의 당선에 대비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결론
2024년 미국 대선에서 한국 언론과 전문가들의 분석 및 보도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내었습니다.
여론조사 결과의 선택적 보도, 히든 해리스와 샤이 트럼프 용어의 오용, 그리고 경제 이슈에 대한 부적절한 분석이 한국의 준비와 대비를 실패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한국 언론과 전문가들은 미국 정치를 분석할 때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한테 목숨거는 진짜 이유, 현대차 긴장해야겠다. (6) | 2024.11.07 |
---|---|
러시아 파병의 나비효과. 김정은이 이미 죽은 목숨인 이유|김대영 군사평론가 3부 (8) | 2024.11.07 |
[Why Times 정세분석 3001] 루비콘강 건넌 김정은, 정권의 생존을 걸었다! (2024.11.5) (8) | 2024.11.06 |
이란이 다시 이스라엘 공격 한답니다. (10) | 2024.11.05 |
관광객 급증하자 동남아처럼 이것 생겨나고 있는 일본 (16)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