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유럽의 몰락 1] EU와 유로화 추진의 배경과 유럽 몰락의 시작 #박정호교수 #여의도멘션 #EU #유럽경제

https://youtu.be/CILc_uV-xzA?si=zhTpaas5obtZZP_-

유로화 도입의 역사에 대해 알려주는 영상입니다.

유럽 통합의 꿈과 현실: 유로화 도입의 명과 암

1. 전쟁의 상처와 평화의 염원: 유럽 통합의 시작

20세기 초, 유럽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이라는 끔찍한 경험을 겪었습니다.

수많은 인명 피해와 함께 유럽 사회는 깊은 상처를 입었고, 다시는 전쟁과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이러한 절망 속에서 유럽인들은 공동체를 통해 평화를 이루고자 하는 희망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2. 로마 협약: 유럽 통합의 첫걸음

1957년, 6개국(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서독)은 로마 협약을 체결하고 유럽 경제 공동체를 출범시켰습니다.

이는 유럽 국가 간의 경제적 장벽을 허물고, 자유로운 이동과 무역을 보장하기 위한 첫걸음이었습니다. 노동시장 개방, 무비자 여행, 무관세 무역 등을 통해 유럽은 하나의 경제 공동체로 나아가기 시작했습니다.

3. 독일 통일과 유로화의 탄생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동서독이 통일되면서 유럽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강력한 경제력을 갖춘 통일 독일의 등장은 유럽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습니다.

 

이에 프랑스는 독일의 재무장을 막고 유럽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유로화 도입을 제안했습니다.

4. 소련 붕괴와 유럽 통합의 가속화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동유럽 국가들은 서방 진영으로 몰려들었고, 유럽 통합은 더욱 가속화되었습니다.

공산권 붕괴와 함께 유럽은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했습니다.

5. 마스트리히트 조약과 유로화의 탄생

1992년, 유럽 국가들은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체결하고 유로화 도입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이는 정치인들의 강력한 의지와 유럽 통합에 대한 열망을 반영한 상징적인 조치였습니다.

하지만 유로화 도입은 모든 유럽 국가의 경제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간과한 채 추진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습니다.

유로화, 빛과 그림자

유로화는 유럽 통합의 상징이자 성공적인 경제 통합의 모델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유럽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남유럽 재정 위기는 유로존의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유럽 통합에 대한 회의론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유로화 도입은 유럽 역사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였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유럽 통합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