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정책과 인플레이션
트럼프의 정책은 강한 보호무역주의와 대규모 감세를 중심으로 한다.
이러한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포함한다.
- 보호무역주의
트럼프는 관세를 인상하여 수입 물가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을 초래하고,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대규모 감세
트럼프는 법인세를 현행 21%에서 15%까지 대폭 낮출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감세는 재정적자를 확대할 것이며, 이를 메우기 위해 정부는 더 많은 국채를 발행해야 할 것이다.
이는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옐런의 재정 지출과 인플레이션 위험
옐런 재무부 장관이 설정한 재정 지출 정책도 인플레이션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 재정 지출 증가
옐런의 재정 지출은 2024년에는 2021년 코로나 시기와 비슷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재정 지출 증가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최소 6개월에서 최대 18개월 뒤에 나타날 수 있다.
- 시한폭탄
이 같은 재정 지출 정책은 '시한폭탄'으로 비유될 수 있다.
트럼프의 임기 초기에 이러한 재정 지출의 효과가 나타나면, 인플레이션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다.
닉슨 시대의 물가 상승과 정치적 개입
과거 닉슨 대통령 시절의 미국 경제 상황은 현재와 유사한 점이 많다.
- 물가 상승
1970년 초반,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7%를 초과한 적이 있다.
닉슨은 재선을 위해 연준과 재무부에 압박을 가해 돈을 풀도록 유도하였고, 이는 결국 물가 상승을 통제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 정치적 개입
정치적 개입으로 인해 물가 상승을 통제하지 못한 결과, 1980년에는 물가 상승률이 15%에 달했다.
이는 경기 침체를 심각하게 만들었고, 경제를 안정시키는 기회를 놓쳤다.
트럼프 2.0 시대의 경제적 도전
트럼프의 정책과 옐런의 재정 지출이 겹치면서 인플레이션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 금리와 환율
트럼프의 정책으로 인해 미국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 등 '3고(高) 쓰나미'를 초래할 수 있다.
- 물가 상승률
최근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반등세를 보이고 있으며, 생산자 물가 상승률도 상승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물가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 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2.0 시대의 인플레이션은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자본 유출
미국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한국의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는 환율 상승을 초래하고, 한국의 물가도 상승하게 된다.
- 부동산 시장
한국의 시장 금리 상승으로 인해 정부의 빚내서 집 사라 정책에 따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주택 구매자들이 당장 이자 부담으로 고통받게 된다.
이는 장기화되면 한국의 부동산 가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
트럼프 2.0 시대에 대한 경제적 위험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가 계속되고 있다.
트럼프의 정책과 옐런의 재정 지출이 겹치면서 인플레이션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제적 복잡성을 이해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인은 세뇌돼서 행복한게 아님 (6) | 2024.11.20 |
---|---|
민중의 오함마' 미국 경찰의 권력이 강한 이유 (24) | 2024.11.19 |
한국처럼 되고 싶었던 말레이시아가 무너지다. (12) | 2024.11.17 |
[유럽의 몰락 1] EU와 유로화 추진의 배경과 유럽 몰락의 시작 #박정호교수 #여의도멘션 #EU #유럽경제 (8) | 2024.11.16 |
전쟁 끝낼 신호가 나왔다. 러시아는 이제 한국부터 찾을 겁니다 (조한범 박사 2부) (8)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