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주역 태극과 괘 (feat. 태극기. 주역점. 라이프니츠. 헤라클레이토스)

https://youtu.be/MhEbKqtE-58


이 영상은 동양 철학과 주역의 원리를 바탕으로 태극기를 설명하며,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태극기의 모양과 색깔은 음과 양의 조화로 우주의 원리를 표현하고 있으며, 주역은 자연과 인간의 변화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영상을 통해 시청자는 동양 철학의 기초가 되는 개념과 태극기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천산중계와 태극기의 철학적 의미


영상에서는 주역점을 통해 천산 중계, 허상 돼회, 화천 대유라는 세 개의 괘를 뽑아서, 세 개의 괘를 통해 주역이란 무엇이고, 그 의의를 설명합니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태극기인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철학적인 국기 중 하나인데, 태극기는 동양 사상과 우주의 이치, 그리고 조화를 상징하며, 이는 주역에 등장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2. 주역과 변화의 철학


주역은 변화에 초점을 맞춘 책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는 철학서이다.


여기서 자연의 변화는 신의 존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고대 사람들에게 신비로운 힘으로 여겨졌던 영역이다.


철학자들은 이러한 신화적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의 변화를 요소로 설명하고자 했고, 물, 불, 공기 등이 그 예이다.


주역은 인간이 자연의 한 부분으로,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주역의 세 가지 의미는 변역, 불력, 간이로 모든 것은 변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3. 세상의 변화 원리에 대한 이해와 태극의 개념


세상은 복잡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원리로 쉽게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다.

변화는 계속되며, 우리는 노력하지 않아도 이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모든 것이 변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으며, 이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이 주역의 목적이다.


태극은 모든 것의 시작을 의미하며, 이는 음과 양의 원리를 아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태극의 형태는 세상이 두 가지로 나누어졌음을 보여주며,


이는 삶과 죽음, 밝음과 어둠 등 다양한 대립 관계를 나타낸다.

4. ️음양의 원리와 철학적 연결 고찰


작은 영역에서는 빛이 적고, 큰 영역에는 어둠이 크다는 원리처럼, 양과 음의 기운이 상호작용하며 존재한다.


죽음과 생명의 관계를 통해 음양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주역에서는 모든 만물의 변환이 음과 양으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변화의 원인을 대립과 투쟁에서 찾고, 서로 대립하는 것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사상은 주역과 유사하여 음과 양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나타나 조화를 이루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작대기는 이러한 음양의 상징으로, 끊어진 작대기는 음을, 이어진 작대기는 양을 나타낸다.

5. 팔괘의 음양 조화와 디지털 문명의 연관성


괘는 모두 음양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괘는 양 3개로, 태괘는 양 2개와 음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겹쳐진 음양으로 8개의 괘가 세상에 형태를 보여주며, 각 괘는 하늘(건괘), 연모(태괘), 불(리괘), 천둥(진괘), 바람(풍괘), 물(감괘), 산(강괘), 땅(곤괘)을 의미한다.


팔괘를 결합하면 64개의 방언도가 나오며, 이는 프랑스의 조아킴 후배가 청나라에서 발견해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에게 전해졌다.


라이프니츠는 이를 통해 이진법 체계를 만들었고, 디지털 문명이 0과 1로 이루어진 사실은 이 주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청화 성회를 이진법으로 변환하면 1, 0, 1이 되어 십진법으로 바꾸면 47이라는 값을 얻는다.

6. 주역의 규칙성과 태극기의 의미


숫자 63에서 16을 빼면 이진법으로 0100이 되고, 괘로 바뀌면 특정한 형태가 된다.

상황 관계는 한 괘와 맞은편 괘가 상응 관계에 있으며, 예를 들어, 우물 정계와 3편 대추 괘가 관련이 있다.

탱 매수 괘와 상응관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숫자를 변환하고, 38일 경우 31을 더한 결과를 얻는다.

주역은 64개의 괘가 2진법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음양의 변화가 존재함을 언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태극기는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음양의 조합을 표현하며, 동양의 정신을 상징한다.

7. 태극기의 의미와 상징


다른 국기들은 바탕이 빨간색이나 파란색으로 색칠된 경우가 있지만, 우리나라 태극기의 바탕은 흰색으로, 이는 밝음과 순수를 상징하며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 나타냅니다.

태극기는 가운데에 태극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이는 우주 근원이자 시작을 의미합니다.

원 모양은 시작과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우주를 대표하며, 태극 문양은 빨강(양)과 파랑(음)조합으로 음과 양의 흐름을 시각화합니다.

태극기의 4강 모서리에는 각각 세계에 효로 이루어진 괘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주역의 8개 중 일부입니다.


8. ️주역과 태극기의 의미 탐구


건괘는 하늘을, 곤괘는 땅을 의미하며, 두 괘가 화합하면 물과 함께한 대학서의 나래로 연결된다.

반대로, 양괘 사이에 음괘가 있는 모양은 불을 상징하고, 태극기의 구조는 이러한 동양 사상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주역은 단순한 점을 치기 위한 책이 아니라,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변화를 이해하는 지혜를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