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천부경, 우프선생, 2023. 4. 2 - 천부경의 의미와 구조 분석(4)

https://www.youtube.com/live/vSQKlmrqFzc?si=0er_V4tIcQA-SACN

21. 인내천: 사람과 하늘의 합일

명상과 같은 설명을 통해 사람의 가운데 하늘과 땅이 합쳐져 있다는 개념이 제시되는 바,인내천 사상은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의미로, 이를 통해 서로 존중하고 공경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전달된다.

서양의 신앙 체계와는 달리 동양에서는 사람과 하늘이 같다고 여겨지며, 모든 사람은 부처라고 보고 서로 존중해야 함을 강조하며,사람은 살아있는 부처이며, 속세에서의 생활이 좋은 수련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언급된다.

22. 속세의 경험이 도를 닦는 최고의 방법이다.

속세에서의 다양한 경험은 도가 다듬어지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산속에서 혼자 벽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는 것은 헛된 것이라고 생각하며, 다양한 인간 관계와 감정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다고 강조한다.

자신의 경험을 통해 아들과의 관계 회복과 감정의 다양성을 체험하며, 결국에는 '잘 놀다 간다'는 마음으로 죽음을 받아들여야 진정한 깨달음에 이른다고 말하며, 단전 호흡이나 신비로운 에너지를 추구하는 것은 망상에 불과하며,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23.우주와 인간의 끊임없는 반복과 연결

우주는 끝없이 반복되고 있으며, 이는 윤회의 개념처럼 보이는데, 우주의 미래는 언젠가는 빅 크런치로 돌아간다고 하며, 이는 삼태극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인간의 삶에서도 끝난 것이 또 새로운 시작이므로, 부모는 사라지지만 자녀가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며, 따라서 인간은 하늘과 땅의 합일을 이루며, 계속해서 대를 이어가는 존재입니다.

결국, 우리의 본심은 태양처럼 밝고 즐거운 상태에서 우주와의 합일을 이룹니다.

24. 천부경과 광명사상에 대한 간단한 이해

천부경의 저자는 인간 세상에서 우리의 마음이 태양처럼 밝게 빛나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남에게 해롭지 않게, 밝고 잘 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것이 바로 단군의 광명사상과 '제세이화', 홍익인간의 정신임을 설명합니다. 모든 종교에서 결국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가 같고, 이 또한 천부경을 단순하게 해석하자는 취지입니다.

천부경에는 수와 변화를 통한 심오한 원리가 담겨 있으며, 시작과 끝이 계속 반복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5. 천부경과 숫자의 의미에 대한 해석

천부경의 개념은 복잡한 이론이 아닌 간단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며, 과학적 해석이 필요 없는 명확함을 가지며, 약 5000년 전 주도적인 아이디어를 낸 인물의 사상으로, 숫자 '1'과 '6'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단순한 수리적 가치가 드러납니다.

특히 천부경은 우리의 민족 고유의 경전으로, 기본적인 의미를 이해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어와 산스크리트어 사이 유사성을 통해 인도 문화와의 교류의 흔적이 있음을 알리며, 허황후와 관련된 역사적 배경도 언급됩니다.

 

26. 역사적 교류와 유전자의 다양성에 대한 통찰

오랜 역사 속에서 사람들은 정보사상을 교환하며 세계를 다녔고, 한국어와 영어, 중국어 간에는 비슷한 단어들이 많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가덕도에서 발견된 유물과 유골들은 67,000년 전 것으로, 백인 종족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한국에 살고 있는 인종은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지역의 백인 종족과 연관되어 있으며, 그들이 여전히 우리의 유전자 속에 남아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피부가 하얀 한국인들이 많은 이유는 유전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서로 다른 인종 간의 교류가 적지 않았던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결국, 과거의 많은 변화와 발달은 앞으로도 계속 밝혀질 것이며, 인류의 유전자 다양성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