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RayGSGtTBis?si=XxJ95Trd-ZgJkeWU
경제 전망의 정확성과 비판
한국은행은 지난 8월부터 분기별 경제 전망치를 발표하기로 하여, 통화 정책의 투명성을 향상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첫 분기부터 큰 오차가 발생하면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은 2024년 3분기 경제성장률을 0.5%로 전망했지만, 실제 성장률은 0.1%로 나타나 전망치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의 전망치가 왜곡되어 시장 혼란을 초래한다는 비판이 거세졌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의 반박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반박을 했습니다.
그는 분기별 전망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강조하며, 전망치와 실제 결과의 차이를 단순히 맞췄다 틀렸다고만 보지 말고, 경제 전망을 체크포인트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분기별 전망은 경제 상황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금리 정책과 가계부채, 부동산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서울 등 특정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를 주저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부동산 가격이 소득과 비교해 너무 오르면 버블이 꺼지는 걱정뿐 아니라 자원배분 측면에서도 부동산에 대출 등으로 돈이 몰렸다가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부동산 경기를 살려야 하는 이런 고리를 끊어줄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대출 규제와 효과
정부와 금융당국은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9월부터 시행되며,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가 얼마나 효과적일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출 수요가 크다면, 규제로 인한 공급제약은 시장왜곡만 가져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습니다.
최근의 금리 인하와 그 영향
한국은행은 최근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 내렸습니다.
그러나, 이 금리 인하는 가계부채 관리 기조와 대출 규제로 인해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주택 거래 총량과 매매가 상승 움직임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의 반응과 비판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은 시장에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결정 이후에도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이 여전히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이창용 총재는 금리 인하를 빨리 하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에 대해, 금리 인하가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를 더 부추길 수 있었음을 강조하며 반박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반박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의 정책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론
한국은행의 경제 전망과 금리 정책은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분기별 전망의 불확실성과 가계부채, 부동산 가격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은행의 정책이 시장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창용 총재의 반박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의 정책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인식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행과 정부는 더 투명하고 일관된 정책을 통해 경제 주체들의 혼란을 줄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주택 가격 안정화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근본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헌터: 갑작스러운 위기와 파산 조사 (8) | 2024.11.01 |
---|---|
행정부서가 장악한 삼성..기술보다 비용절감 외치다 무너진 반도체 왕국 비디오머그 귀에빡종원 (4) | 2024.11.01 |
무인 스터디 카페 못 버티고 제거합니다 (10) | 2024.10.31 |
연말가까워 오니 싹~ 빠진 기대감, 그리고 드러나는 현실!! 시동이 걸려도 연료가 없는 대한민국 경제 !! (10) | 2024.10.29 |
다이아몬드 위기 (2)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