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내 저가 피자 시장의 변화와 성장

https://youtu.be/EjrNxfE0 yD8

현재 국내 저가 피자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살펴보는 영상입니다. 저가 피자가 2005년 등장 이후 급격히 성장했으나,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냉동 피자 등장의 영향을 받아 시장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대기업의 진출로 인해 경쟁이 치열해지며 다양한 브랜드들이 저가 피자 시장에 진입하고 있지만, 이는 결국 레드오션 상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랜드 충성도가 낮은 피자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선택이 가격이나 마케팅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업자들은 가격 출혈 경쟁에 시달리게 됩니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쟁력을 유지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1. 서론 🍕 저가 피자 시장의 변화와 경쟁 상황

 

현재 피자 시장은 가격대에 따라 고가와 저가 시장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저가 피자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글로벌 프랜차이즈중심의 고가 피자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2000년대 중후반부터는 저가 피자 쪽으로 빠르게 변화하게 되었다.

 

현재 저가 피자브랜드로는 피자마루, 구살 피자, 반올림 피자 등이 있으며, 대기업의 진출로 인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저가 피자시장의 이러한 변화와 현재의 경쟁 상황에 대해 강조하며,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이 가격과 마케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2. 🍕 저가 피자 시장의 성장과 변화

 

 

2.1. 2005년 저가 피자 시장의 시작과 변화

저가 피자시장은 2005년 피자 스쿨의 등장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장의 성장은 향후 소비자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가격과 마케팅 전략이 중시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저가 피자는 브랜드 충성도가 낮아 소비자들이 가격과 마케팅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므로, 출혈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2.2. 피자 스쿨의 저가 정책과 시장 포지셔닝

피자 스쿨은 2003년 푸드 트럭에서 시작하여, 2004년 12월부터 매장형 프랜차이즈로 전환해 가맹점 모집을 시작했다. 

당시 피자 스쿨은 5,0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피자를 판매하며, 외식으로서의 부담을 덜어주어 피자를 대중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피자 스쿨은 전통적인 프리미엄 피자 브랜드와 달리 동네 골목 상권에 입점하여, '아빠들의 피자'로 남성 소비층을 타깃으로 한 점이 차별점으로 작용했다. 또한, 가정에서 먹을 수 있는 포장 메뉴로 인식을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3. 저가 피자 시장의 후발주자와 성장 배경

피자 스쿨은 유명 연예인 광고 없이도 비용 절감을 통한 가격 정책으로 인해 수백 개의 가맹점을 성공적으로 모집하였고, 이로 인해 저가 피자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저가 피자의 가격대는 최저 9,000원대부터 1만 원 중반대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2010년대에도 저가 피자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나, 코로나19 확산 이후 2020년에 배달 포장 수요가 급증해 정점을 맞이하였다. 2020년 기준으로, 저가 피자인 피자마루와 피자 스쿨이 매장 수에서 업계 1위와 2위를 차지하는 등 시장의 우위를 점유하고 있다. 

 

2.4. 저가 피자 브랜드의 매출 증가와 대형 브랜드 비교

저가 피자브랜드인 반올림 피자는 2020년 매출 134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하여 업계에서 가장 높은 매출 상승률을 기록했다. 피자마루는 2020년에 매출 103억 원으로 6억 원 증가했고, 피자 스쿨은 2019년 71억 원에서 2020년 79억 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대형 피자 브랜드인 도미노 피자, 같은 기간 매출이 약 4% 감소한 228억 원을 기록했으며, 미스터 피자는 31% 급감한 321억 원을 나타냈다. 

 

대형 피자 브랜드들이 모두 적자를 기록했던 반면, 저가 피자브랜드들은 높은 영업 이익을 유지하며 내실을 다졌다. 

오구쌀 피자는 2020년 영업 이익이 200% 이상 성장한 12억 7천여 만 원에 달했으며, 피자 마루와 피자 스쿨의 영업 이익도 각각 45%, 7% 이상 증가했다. 

 

2.5. 대형 브랜드의 저가 피자 시장 진입

2021년, 백종원의 더본 코리아가 저가 피자브랜드인 백보이 피자를 출시하여 진입하였으며, 1년 6개월 내에 200호점을 돌파했다. 2022년에는 신세계 푸드의 정용진 회장이 노브랜드 피자를 출시하며 저가 피자시장에 경쟁자로 가세했다. 

 

이러한 대형 프랜차이즈기업들의 진입은 저가 피자시장의 경쟁 심화를 나타내고 있다고 추정된다. 

 

 

3. 🍕 저가 피자 시장의 감소 추세

 

 

2024년 현재, 국내 저가 피자시장은 정점을 지나 성장을 멈추고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이다. 

 

백종원의 백보이 피자의 가맹점 면적당 연평균 매출액은 2022년 4,340만 원에서 2023년 2,966만 원으로 급격하게 줄어들었으며, 점포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브랜드도 많아졌다. 저가 피자의 전포 수는 2020년 504개에서 2022년 448개로 60개 가까이 줄어들었고, 피자마루 역시 2022년 전포 수가 2020년 대비 629개에서 572개로 감소했다. 

 

피자스쿨의 본사 영업 이익과 단기 순이익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어, 저가 피자 프랜차이즈들의 전반적인 성장 정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맹점 매출액 감소, 가맹점 수 감소, 그리고 본사의 영업 이익 하락은 저가 피자시장의 심각한 현실을 보여준다. 

 

 

4. 🍕 저가 피자 브랜드의 성장 둔화 원인 분석

저가 피자시장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가 235개에 달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신규 브랜드의 지속적인 출현이 레드오션 상황을 자초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국내 냉동 피자 시장 규모가 1,092억 원에서 2,530억 원으로 급성장하면서, 고품질의 냉동 피자가 저가 피자의 대체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고객들의 브랜드 충성도가 낮아 소비자들의 구매가 이벤트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브랜드 간 가격 출혈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저가 피자브랜드들이 비슷한 비주얼과 맛을 제공함에 따라, 소비자유치를 위한 이벤트 경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으로 추정된다.

5. 🍕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저가 피자 시장의 변화

현재 우리나라의 1인 가구는 1천 만 가구 이상으로, 전체 가구 수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저가 피자의 소비 트렌드가 고피자와 같은 1인용 피자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한 연구는 향후 별도의 영상 주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6. 결론 🍕 저가 피자 시장의 치열한 경쟁과 향후 전망

저가 피자시장은 불경기와 물가 상승 속에서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영향을 받아 빠르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다양한 인기 창업 아이템들이 저가 시장과 관련된 것들로 집중되면서, 이에 따른 유행의 빠름은 레드 오션 상황을 초래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앞으로의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선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전략을 조정하고, 가격 출혈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