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리 바라본 2025년 경제전망 f. 김광석 교수 #박정호교수 #여의도멘션 #김광석교수 #2025년경제전망

https://youtu.be/KgO91 z3 JsBg? si=rbCgIVwqR2 t3 Fj8 Y

이 영상은 김광석 교수님의 최근 경제 전망에 대한 설명과 분석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김광석 교수님은 명지대 실물 투자 분석학과의 교수로, 경제 전망과 거시경제 분석에 전문가입니다. 아래는 2025년 세계 경제 전망과 그에 따른 개인적, 국가적 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입니다.

2025년 세계 경제 전망: 저성장 고착화와 그 영향

저성장 고착화


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세계 경제는 저성장 고착화의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이전 전망보다 더 낮은 성장률을 예상하는 것으로, 세계 주요국들의 실물경제가 고성장을 마감하고 저성장을 계속 받아들이는 현상입니다.

김광석 교수님은 이 현상을 "어나더 피어리어드 오브 낫-굿-이너프"라고 표현하며, 이는 새로운 국면에 진입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을 구분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실물경제의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국가별 경제 전망

미국


미국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재집권과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감세 조치가 빠르게 시행된다면 2025년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IMF는 미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였으며, 미국 예외주의(The U.S. Exceptionalism)로 표현할 수 있는 견조한 성장세를 예상합니다.

중국


중국은 내수를 지지하기 위한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성장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트럼프의 귀환에 따른 추가 관세 도입 및 대중 제재로 인해 2025년 4.1%의 낮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이 장기화될 우려도 있습니다.

유로존과 일본


유로존은 독일의 성장세가 기대에 못 미침에 따라 2025년 연간 1.3%의 미미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무역 마찰 이슈가 재부각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본은 수출 감소 및 기업실적 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차세대 산업 부문의 투자 증가와 새 내각의 경제정책으로 인해 1.0%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세안과 인도


아세안 5개국은 양호한 민간소비, 정부지출, 외국인투자 등에 힘입어 2025년 4.7% 성장할 전망이며, 미·중 갈등 및 대외 리스크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도는 견고한 성장세가 2025년에도 지속되어 6.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트럼프 신행정부의 반이민 정책이나 보호무역주의가 미칠 부정적 영향이 공급망 재편, 유가 하락 등으로 상쇄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 전략

소득과 자산의 관계


김광석 교수님은 소득의 증가 속도가 자산 가치의 증가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단순히 열심히 살고 성실히 저축하는 것만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소득을 자산과 바꾸는 행위, 즉 투자가 중요하다고 설명하며, 거시경제를 이해하는 것이 이러한 투자 결정에 필수적이라고 합니다.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


부동산 시장이나 다른 자산시장을 분석할 때는 다양한 각도에서 보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거시경제적 변수들이 어떻게 맞물려 돌아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부동산 시장이나 다른 자산시장의 동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집값과 부동산 시장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유동성을 늘리기 위해 금리 인하와 유동성 공급이 증가했으며, 이 중 일부가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가서 가격을 올린 것이라고 합니다.

이는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김광석 교수님은 집에 대한 의사결정은 전 재산을 걸고 하는 중요한 결정이라고 강조하며, 집값이 올라갈지 떨어질지에 대한 관심과 긴장감이 높은 이유를 설명합니다.

특히, 서울시의 평균 주택가격 대비 소득비율(PIR)이 12배에 달하는 현실에서 집을 구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예로 들었습니다.

결론


2025년 세계 경제는 저성장 고착화의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각국별로 다양한 경제적 도전들이 존재하며, 개인적 전략으로는 소득을 자산과 바꾸는 투자가 중요하다고 강조됩니다.

부동산 시장이나 다른 자산시장을 분석할 때는 거시경제적 변수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김광석 교수님의 설명을 통해, 우리는 2025년 경제 전망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개인적 및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집과 같은 중요한 자산에 대한 의사결정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전 재산을 걸고 하는 결정임을 명심해야 합니다.